현재 구현 상태

어려웠던 점

민선님 소셜 로그인 기능을 만들 때 처음하는 작업이다보니 예상치 못한 부분에서 문제가 생겼습니다.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데이터 흐름과 요구사항을 맞추는 작업이 많아 생각보다 고칠 점이 많았고 복잡했던 것 같습니다.
유림님 기존에 쓰지 않았던 react-query를 사용하는 것이 익숙치 않았고, 이번에는 하나의 컴포넌트도 좀 더 세분화해서 진행하려다 보니 데이터를 전달하는 방식에 어려움을 많이 겪었던 것 같습니다.
재희님 현재 NestJS를 사용하여 커리큘럼에서 다루지 않은 기술로 백엔드 서버를 구현하면서, 요청과 응답 인터페이스와 타입 설정, DTO 설정 과정, 그리고 3티어 아키텍처의 철학과 구조적 접근 방식에 익숙하지 않아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습니다.
강수님 TypeScript 를 처음 써보다보니 Type 맞추는게 생각보다 까다로운 부분들이 있었어서 어려웠던거 같습니다.
동훈님 처음 접해보는 NestJS를 사용하여 작업하다보니, 생소한 구조에 적응이 안돼서 개발속도가 많이 뒤쳐져있었습니다. 특히 아키텍처가 이 전 작업때에 비해 바뀐점이 많아 이 점이 가장 어려웠던것 같습니다.
우승님 타입을 정의하는 게 어려웠고, 데이터를 보내는 것이 조금 어려웠다.

발표 자료 내용: R&R, 기술 스택과 선정 이유, 어려웠던 점, erd, 추후 고도화

25/01/23 16시까지

프론트 자료 정리

백엔드 자료 정리

ERD